개요
유튜브에 업로드한 원본 Loudness Normalization에 따라 유튜브 플레이어가 음량 조정하는 기준을 확인해 본다. 인터넷 정보에서는 위키백과 등을 참조하면 유튜브의 경우, -14 LUFS로 음량 평준화를 적용한다고 알려져 있다. 원본은 세가지로 준비한다. 음량을 각각 -16, -12 및 -14 LUFS로 조정한다. 엄밀히 구분하면, Integrated 측정이며 재생 시작부터 끝까지 전체적인 LU(Loudness Unit)의 평균을 보여주는 수치이다. 유튜브에 업로드한 후 유튜브 플레이어에서 재생하는 동안 마우스 오른쪽 클릭하면 나타나는 메뉴 중 "전문통계"를 보면서 비교한다.
Loudness Normalization: -16 LUFS
전문통계 중에서 Volume / Normalized은 100% / 100% (content loudness -2.0dB)이다.
유튜브 기준과 비교하면 원본 -16 LUFS는 -2.0 dB인데 기준 보다 작다고 표시하므로 유튜브 음량 정규화는 -14 LUFS로 확인된다. 그리고 원본이 음량 정규화 기준보다 작다면 유튜브는 정규화 과정을 진행해도 원본 음량을 그대로 100% 유지한다(기준 LUFS에 맞춰 음량이 커지지 않음).
Loudness Normalization: -12 LUFS
전문통계 중에서 Volume / Normalized은 100% / 79% (content loudness 2.0dB)이다.
유튜브 기준과 비교하면 원본 -12 LUFS는 2.0 dB인데 기준 보다 크다고 표시하므로 유튜브 볼륨 평준화는 -14 LUFS로 확인된다. 그리고 원본이 음량 정규화 기준보다 크다면 유튜브는 -14 LUFS로 조정한다. 유튜브가 조정한 음량은 원본 음량이 100%이면 79%로 감소한 음량과 같다.
Loudness Normalization: -14 LUFS
전문통계 중에서 Volume / Normalized은 100% / 100% (content loudness 0.0dB)이다.
유튜브 기준과 비교하면 원본 -14 LUFS는 0.0 dB이고 기준과 같다고 표시하는데 이 결과로부터 유튜브 음량 정규화 기준은 -14 LUFS로 확인할 수 있다. 그리고 원본이 유튜브 기준과 같다면 정규화 과정을 진행한 음량은 100%이고 원본 음량 100%와 같다.
고찰
위 세가지 볼륨조정된 원본 업로드에서 YouTube 플레이어로 재생하면 -14 LUFS 기준으로 음량 정규화가 적용된다. -14 LUFS 보다 큰 음량은 YouTube Loudness Normalization 기준에 따라 음량이 조정된다. 그러나 -14 LUFS 보다 작은 음량은 전문통계에서 마이너스(-) dB로 표시되고 업로드한 원본 그대로 유지한다.